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어느 대학, 어느 학과 : 비등록금 회계

교비회계는 등록금 회계와 비등록금 회계로 구분됩니다.

이 보고서는 사학진흥재단에서 공고한 비등록금 회계를 정리한 것으로, 2024년 9월 11일에 다운로드되었습니다.




 


지출/수입 관항목 추이 :

이 보고서는 대학의 비등록금 자금계산서 지출 내역을 시각화한 것으로, 다양한 항목의 연도별 지출 비율을 막대그래프와 선그래프로 표현하고 있습니다.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설명하겠습니다.

 

### 1. **효과성**

- **직관적 데이터 시각화**: 이 보고서는 대학의 다양한 지출 항목을 시각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각 항목별 지출 비율을 연도별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, 경영진이나 재무 담당자가 빠르게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.

- **항목별 변동 파악 용이**: 그래프를 통해 교원강의료, 교원복지수당, 특별강의료 등 다양한 항목이 연도별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 특정 항목이 특정 연도에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한 패턴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- **정책 수립에 유용**: 이 보고서는 지출 패턴을 분석하여, 향후 예산 계획이나 재정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교원강의료나 직원복지수당의 지출 증감 추이를 보면서 적절한 재정 배분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- **필터링을 통한 상세 분석**: 오른쪽에 제공된 필터 기능(조사년도, 관련법령, 학제, 설립구분, 지역 등)을 통해 보고서를 세분화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대학 운영 상황에 맞는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 

### 2. **효율성**

- **시간 절약**: 보고서를 통해 수백 개의 데이터 항목을 일일이 분석할 필요 없이, 시각화된 데이터를 통해 즉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어 분석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구체화되어 있기 때문에, 복잡한 데이터 분석 과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- **신속한 의사결정 지원**: 데이터를 시각화한 결과는 경영진이나 의사결정권자에게 즉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복잡한 수치보다는 그래프를 통해 빠르게 이해하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어, 더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해집니다.

- **데이터 업데이트 용이**: Power BI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한 경우,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때 보고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.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별도의 보고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즉시 최신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.

- **반복 작업 최소화**: 이미 설정된 대시보드를 이용하면 동일한 분석 과정을 반복할 필요 없이 필터만 적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, 반복적인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 

### 결론:

이 보고서는 대학의 비등록금 자금계산서 지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,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과 빠른 의사결정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. 복잡한 데이터를 간결하게 정리해주기 때문에 데이터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여줍니다.


수입/지출 관항목 추이 ii :

이 차트는 대학의 **수입 관항목**의 연도별 추이를 시각화한 것입니다. Y축은 수입 관항목의 비율(%)을 나타내고, X축은 항목별로 대학의 자금 수입 총계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각 원의 크기는 해당 항목의 비율 크기를 의미하며, 색상과 연도별로 각 항목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나타냅니다.

 

### 주요 분석 내용:

 

1. **입학금과 수업료 항목의 비중**:

- **입학금(5111)**과 **수업료(5113)** 항목이 전체 수입에서 매우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특히 2016년과 2023년에 **입학금**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, 2023년의 입학금은 대단히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(약 70% 이상).

- 수업료도 상대적으로 중요한 수입 항목으로 나타나며, 여러 해에 걸쳐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.

 

2. **기타 중요한 항목**:

- **수강료수입(5120)** 및 **단기강좌료(5121)** 역시 일정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, 각 연도에 따라 변동이 있지만, 전체 수입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
- **기타수입(9000)**도 2023년에 눈에 띄는 비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이는 대학 운영에 있어서 변동적인 수입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

 

3. **연도별 추이**:

- **입학금**과 **수업료** 항목은 2023년에 특히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, 다른 항목들은 비교적 낮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특히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일부 항목들의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.

- 비율이 낮은 항목들(예: **교내작업수입(5216)**, **등록금회계전입금(5218)** 등)은 수년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, 전체 수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

 

4. **항목별 분포**:

- 대부분의 항목이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, 수익성의 핵심은 입학금과 수업료에 집중되어 있습니다. 이는 대학의 주요 수입원이 입학금과 수업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

- 그 외의 항목들은 비교적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, 종종 특정 연도에 큰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. 예를 들어, **임대료수입**은 특정 연도에 비중이 크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.

### 요약 및 결론:

- **입학금과 수업료**는 대학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, 이 항목의 변화가 대학 재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
- 그 외의 수입 항목들은 대학 운영에서 보조적 역할을 하지만, 특정 연도에 따라 변화의 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- **수강료수입**과 같은 항목들은 안정적이지만, 그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.

- 대학의 재정 전략은 입학금과 수업료 수익의 변동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,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입 항목의 다각화 및 전략적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
표 :

이 보고서는 **지출 과목별 비율 및 금액**에 대한 정보를 대학별로 비교하고 분석한 자료입니다. 각 대학의 **비등록금 지출총계** 대비 각 과목의 지출 비율과 금액을 보여줍니다. 해당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요 사용 포인트를 설명하겠습니다.

 

### 주요 분석 내용:

 

1. **대학별 비등록금 지출 총계**:

- 각 대학의 비등록금 지출 총계는 상당히 다릅니다. 예를 들어, 광주여자대학교는 약 25억 원, 대림대학교는 약 35억 원, 서정대학교는 약 43억 원, 한국관광대학교는 약 32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납니다. 이러한 차이는 각 대학의 규모나 운영 방식, 재정 상황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습니다.

 

2. **지출 과목별 비율**:

- **운용지출(4000)**은 각 대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광주여자대학교는 78.83%, 대림대학교는 82.14%, 서정대학교는 72.17%, 한국관광대학교는 46.59%로 각 대학에서 이 항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, 주요 자금이 이 항목에 투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- **기계기구매입비(1311)**는 광주여자대학교에서 6.83%, 대림대학교에서 1.36%, 서정대학교에서 4.49%, 한국관광대학교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, 기계 기구와 관련된 지출이 일부 대학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
 

- **건물매입비(1315)** 및 **차량운반구매입비(1316)**와 같은 자산 구매 관련 항목은 대체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이 항목들은 특정 연도에 큰 지출로 나타날 수 있지만, 현재는 많은 대학에서 크게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

 

3. **비율 합계의 차이**:

- 비율 합계가 100%를 넘는 대학들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광주여자대학교의 경우 101.20%, 대림대학교는 110.26%, 서정대학교는 108.44%, 한국관광대학교는 128.61%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비등록금 지출이 예산을 초과한 상황으로, 초과 지출이 발생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.

 

### 사용 포인트:

 

1. **대학별 자금 지출 비교**:

- 각 대학별로 비등록금 지출 항목에 대한 비교를 통해, 대학 운영 방식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대학에서 기계 기구나 건물 구매 등 특정 항목에 더 많은 자금을 할당했는지, 또는 운용 지출에 주로 집중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2. **초과 지출 분석**:

- 서정대학교와 한국관광대학교는 비율이 100%를 넘는 지출을 하고 있어, 예산 초과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습니다. 각 대학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여 이러한 초과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이 필요합니다.

 

3. **주요 지출 항목 식별**:

- 각 대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출 항목을 분석하여, 대학 운영에 있어서 어떤 항목이 주요 지출 요소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운용지출이 주요 항목인 반면, 자산 매입 관련 지출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대학의 특정 자금 지출 항목을 관리하고 최적화할 때 이러한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.

 

4. **재정 전략 수립**:

- 이 데이터를 통해 각 대학은 비등록금 지출의 효율성을 평가하고, 향후 재정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비율이 높거나 지출이 집중된 항목에서의 절감 방안을 모색하거나, 초과 지출된 부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 

### 결론:

이 보고서는 대학의 비등록금 지출 항목을 비교하고, 각 항목이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. 대학별로 상이한 지출 패턴을 분석하여, 각 대학이 어떤 항목에 자금을 많이 투입하는지, 초과 지출이 발생한 부분은 어디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어, 재정 관리 및 최적화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