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어느 대학 vs 어느 학과

어느 대학 어느 학과 : 대학재정

수험생의 2025학년도 합격을 기원합니다.

사학진흥재단 정보공시 대학자금계산서 지출에 대한 내용입니다.

data: 사학진흥재단 예·결산(결산) - 통합공시 (kasfo.or.kr)



이 이미지는 대학별 자금계산서에서 계정과목별 지출 금액 비율을 시각화한 대시보드입니다. 대시보드의 사용법과 그래프 분석을 위해 아래와 같이 정리할 수 있습니다.

### 사용법:
1. **상단의 필터 옵션**: 사용자는 학교명, 회계연도, 지역, 설립 구분(전문대학, 일반대학 등), 법인명, 학제 등 여러 필터를 통해 데이터를 세부적으로 필터링할 수 있습니다. 이를 통해 특정 대학이나 특정 조건에 맞춘 지출 금액 비율을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   
2. **학교명 검색**: 학교명을 직접 검색해 해당 학교의 데이터만 볼 수 있습니다.
   
3. **그래프 유형 선택**: 오른쪽에 위치한 ‘관항목 코드’에서 사용자는 특정한 계정과목(예: 교원보수, 직원급여 등)을 선택해 각 항목에 대한 지출 비율을 시각화된 형태로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
### 그래프 분석:
1. **중앙 그래프 (선 그래프)**: 
   - 여러 학교의 **교원보수(4110)**에 대한 지출 비율 변화 추이를 시각화하고 있습니다. 
   - 예를 들어 **동원대학교**의 경우, 교원보수에 대한 지출 비율이 2015년부터 2022년까지 꾸준히 증가하는 추세를 보입니다.
   - **연성대학교**는 2018년부터 2021년까지 교원보수 비율이 감소하다가 2022년에 다시 증가하는 추세를 보입니다.
   - **한국관광대학교**는 전체적으로 교원보수에 대한 지출 비율이 하락하는 경향을 보입니다.

2. **막대 그래프**:
   - 선택된 특정 학교들의 교원보수에 대한 비율이 막대 그래프로 시각화되어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2022년 기준으로 **여주대학교**가 약 35.45%로 교원보수에 가장 많은 비율을 지출하고 있으며, **연성대학교**는 25.67%, **정강문화산업대학교**는 24.60%, **한국관광대학교**는 15%의 비율을 차지하고 있습니다.
   
3. **추가 분석 가능성**: 
   - 그래프에서 학교별로 지출 비율이 큰 차이를 보이고 있으며, 특히 교원보수에 집중된 학교와 그렇지 않은 학교 간의 차이점을 비교해 볼 수 있습니다. 이를 통해 학교가 교원 인건비에 어느 정도 예산을 할애하고 있는지 분석할 수 있습니다.
   
이 대시보드를 활용해 특정 학교나 계정과목별로 연도별 변화를 분석하거나, 학교 간 지출 비율의 차이를 한눈에 비교할 수 있어 재무 분석이나 자원 배분에 유용한 도구로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