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입 / 지출 관항목 비교 :
이 첨부된 시각화는 **대학 산학협력단의 자금 지출 현황**을 다양한 계정과목별로 시각화한 것으로 보입니다. 이 시각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합니다:
1. **계정과목별 지출 비율**:
- 시각화의 상단 막대 그래프는 특정 연도(2023년 기준)에서 각 지출 항목이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.
-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"기타지원금사업비(1231)"로 전체 지출의 **77.11%**에 해당하며, 이는 이 항목이 해당 연도에 있어 산학협력단의 주요 지출 요인임을 의미합니다.
- 그 외에도 "인건비(1111)"(1.99%)와 "학생연구비(1112)"(4.23%)가 주목할 만한 지출 항목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
2. **연도별 지출 추이**:
- 하단의 선 그래프는 **2015년부터 2023년까지** 각 항목에 대한 지출액의 변화를 보여줍니다. 이를 통해 각 항목별로 지출 패턴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- 특히 "기타지원금사업비(1231)"의 지출액은 특정 연도에 급격히 증가했으며, 2023년에 특히 높습니다.
- 반면 "인건비(1111)"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소폭 변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납니다.
3. **지출 분석의 학교별, 법인별 차이**:
- 우측의 필터를 통해 **학교명**, **법인명**, **학제** 등의 기준으로 지출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.
- 이는 각 학교나 법인에 따라 지출 구조가 다를 수 있음을 암시하며, 이를 바탕으로 더 세부적인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입니다.
결론적으로, 이 시각화는 **대학 산학협력단의 다양한 지출 항목별 비율과 연도별 지출 변동**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여, 특정 항목에 대한 분석 및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
대학간 비교 :
이 시각화는 **광주여자대학교**와 **서정대학교**의 **학년도별 계정과목 지출 추이**를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. 이 시각화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:
1. **계정과목별 지출 비율 비교**:
- 상단의 선 그래프는 두 대학의 계정과목별 지출 비율을 학년도별로 보여줍니다. **광주여자대학교**는 2023년에 비율이 크게 증가하여 40% 이상을 기록한 반면, **서정대학교**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지출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- 특히 2017년과 2023년 사이의 변동이 두드러지며, 광주여자대학교는 지출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서정대학교는 상대적으로 변동 폭이 적습니다.
2. **주요 항목 (산학협력비_1100)**:
- 우측 상단의 바 그래프는 2023년 기준으로 산학협력비 지출 항목에서 두 대학의 비율을 비교하고 있습니다. **광주여자대학교**가 서정대학교보다 더 높은 비율로 산학협력비를 지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이 부분에서 광주여자대학교의 산학협력에 대한 투자가 더 활발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.
3. **연도별 지출 비율 변화**:
- 하단의 막대 그래프는 각 연도별로 **건물매입비, 건설가계정, 건축물관리비** 등의 계정과목에 대한 지출 비율을 나타냅니다. 이 항목에서도 2016년과 2023년에 광주여자대학교의 지출 비율이 두드러지게 높습니다.
- 서정대학교는 이 항목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동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.
4. **설명 텍스트**:
- 설명에서는 2019년 기준으로 광주여자대학교의 계정과목 비율이 5.71%를 차지하고 있으며, 서정대학교(4.66%)보다 높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 특히 광주여자대학교의 비율이 서정대학교보다 계속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.
### 결론
이 시각화는 **광주여자대학교와 서정대학교의 지출 항목과 비율**을 학년도별로 비교하여, **광주여자대학교가 더 많은 비율로 산학협력 및 관련 항목에 투자**하고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.
표:
이 시각화는 **각 대학별 지출 항목에 따른 지출 금액과 비율**을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습니다. 주요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:
1. **지출 항목별 비율과 금액 비교**:
- 표의 각 행은 특정 지출 항목을 나타내며, 각 열은 대학별로 해당 항목에 대해 얼마나 많은 금액을 지출했는지와 지출 비율을 보여줍니다.
- 예를 들어, **산학협력비(1100)**의 경우 **광주여자대학교**는 1,573,517,000원을 지출하여 전체 지출의 40.73%를 차지한 반면, **대림대학교**는 16,357,172,000원을 지출하여 전체 지출의 83.64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이는 대림대학교가 산학협력비에 상당히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2. **대학별 지출 비율 차이**:
- 각 대학의 **합계 지출 금액**이 표시되어 있으며, 대학마다 전체 지출 대비 비율이 다릅니다.
- **광주여자대학교**는 전체 지출이 약 149.74%로, 산학협력비와 기타지원금 등의 항목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.
- **부천대학교**, **서정대학교**, **연성대학교** 등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각각의 항목에서 다양한 지출 비율을 보여주고 있으며, 대림대학교는 특히 산학협력비에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.
3. **특정 항목에 대한 집중적인 지출**:
- **기만익금(4000)** 항목에서 광주여자대학교는 49.74%의 높은 비율로 기만익금 항목에 많은 지출을 하고 있으며, 다른 대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지출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.
- 반면, **재무활동현금유출 감소(3000)** 항목에서는 **대림대학교**와 **광주여자대학교**가 각각 11.11%, 1.17%의 비율을 기록하며, 이 항목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.
4. **대학별 총 지출 비교**:
- 각 대학의 총 지출 금액과 비율이 하단에 합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. 광주여자대학교는 총 지출액이 2,725,931,000원이지만 전체 비율로는 149.74%에 달합니다.
- 다른 대학들도 각자의 총 지출 금액이 다르고, 이를 통해 학교별 지출 패턴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### 결론:
이 시각화의 포인트는 **대학별로 지출 항목에 따라 지출 금액과 비율의 차이를 비교**함으로써 각 대학의 **주요 지출 항목과 지출 패턴**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. 특히 산학협력비, 기만익금, 재무활동 현금유출 감소 등의 항목에서 대학 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.
'어느 대학 vs 어느 학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학년도 대학 학과 개설현황 (0) | 2025.03.13 |
---|---|
학과 졸업생의 재학기간 평균 (0) | 2024.09.19 |
성적평가 결과(분포) (0) | 2024.09.16 |
어느 대학 어느 학과 : 대학재정 (0) | 2024.09.11 |
어느 대학 어느학과 : 학생1인당 장학금 수혜 현황 (1) | 2024.09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