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어느 대학 vs 어느 학과

대학 쇼핑의 시대, 나에게 맞는 대학은 어느 대학 대학쇼핑의 시대, 검토할 사항은 무엇일까? 명제(가설): 신입생경쟁률은 동시대 학생이 선호하는 대학을 의미하며, 신입생충원율은 제일 선호하는 대학을 선택했다는 의미라 할 때, 선택한 대학에서의 대학만족도를 같이 보려면 중도탈락률과 연계될 것이고, 등록은 했으나 중도탈락률이 높다면 대학생활에서의 만족도가 낮은 대학이라는 가설 신입생경쟁률: 나와 같은 조건의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은 어디일까? 신입생충원율(신입생등록률): 지원한 학생이 최종 선택한 대학: 학생이 선호하는 대 재학생충원율: 그 대학은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있는가? 중도탈락률: 대학은 학생들에게 vision을 제시하고 있는가? 유지취업률: 진출한 직업군은 vision을 제시하고 있는가? 취업률: 대학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를 대변할 수 있을까.. 더보기
나에게 맞는 대학&학과 찾기 고민의 범위 2024학년도 대학의 모집인원은 고3 수험생 인원보다 많다. ⨠ 지원자 누구나 대학진학은 가능하다. 내가 입학하고자 하는 대학으로의 진학은 결코 쉽지 않다. ⨠ 대학 진학의 목적은 입학이 아니다 ⨠ 진학을 통해 내 삶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 진학보다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느 대학 어느 학과가 나에게 맞는가를 찾아야 한다. 대학명에 현혹되기 보다 내실 있게 운영하는 학과와 대학을 찾아야 한다. ⨠ 그 대학 그 학과 운영현황 참고 우리는 알고 있다. 성적이 희망 대학 입학의 필수조건 100% 가 아니라는 것을 보고서 개발 취지 대학과 학과를 이해하기위해선 그 대학 그 학과의 과거 운영 결과를 연구해야 한다. ⨠ 세상에 공짜는 없다. 첨부 보고서는 입학 vs 취업의 연계성을 갖고 대학과 학과를 이해.. 더보기
취업보장 대학, 학과 찾아보기 졸업생 🔝 취업률(%) 🔝 대학이 좋은 대학 아닐지? 지역기준 개설된 학과수는 다음과 같다. 동일지역 다른대학에서 개설한 학과의 학과명이 같을때 1개 학과로 구분 시 (예: 강원 A대학 호텔경영과, 강원 B대학 호텔경영과 = 1개 학과로 구분 시) 더보기
(어느)학과 (어떤)대학 (내게 맞는 학과 알아보기) 알려진 비밀 대학 모집인원보다 수험생이 작다 2024학년도 대학입시는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모든 수험생이 대학에 진학 할 수 있다고 한다. 향후 시대는 대학명 보다 학과가 더 중요하다는 것은 알려진 비밀이다. 이번 페이지에서는 대학의 개설 학과 중 경쟁력 있는 학과를 찾아 보았다data: 대학알리미 대학정보공시 더보기
대학 진학 시 대학 vs 학과 무엇이 먼저일까? 학과 지원자 정원내 = var _m = if ([학과 모집인원 정원내] >= 0, SUM('4다 신입생충원율 학과 종합'[지원자_정원내]), BLANK()) return _m 대학의 모집인원이 수험생 수 보다 많은 시기에 대학은 분야별 특성화대학으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. 향후 시대는 대학보다 전공, 학과가 우선시 되는 시기가 되리라 본다. 대학진학에 있어서, 누구나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라 본다. 이제는 대학진학에서 대학명에 의존하기 보다, 특히, 내신성적 중위권, 하위권 학생 중 수시전형으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은 대학명에 의존하여 학과를 선택하는 것보다 보다 당 대학에서 어떤 학과, 계열을 집중 성장시키려 하는 지 알아보고 대학명 보다 학과를 선택하는 것도 인생성공의 지름길이라 여겨진.. 더보기